1/8

바이든 AI 반도체 수출 제한 강화…엔비디아, 2800억 달러 지원금 효과 '무력화'될까

바이든 행정부의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 제한 강화 계획이 테크 산업에 파장을 일으키는 가운데, 엔비디아가 직격탄을 맞았다. '인공지능 확산을 위한 수출 통제 프레임워크'로 명명된 이 계획은 국가 안보 문제 해결을 목표로, 미국이 신뢰하지 않는 국가에 대한 AI 기술 및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출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 리더들은 혁신 저해 및 중국의 기술 발전을 의도치 않게 촉진할 수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오라클을 비롯한 여러 기업은 이 프레임워크가 미국 기업의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80% 축소시켜 중국 경쟁사에 시장 선두 자리를 내줄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산업안전보장국(BIS)이 개발한 이 프레임워크는 특정 사용 사례가 아닌 컴퓨팅 파워를 기준으로 엄격한 라이선스 요구 사항과 수출 한도를 도입한다. 이로 인해 GPU 공급망 혼란, 운영 비용 증가,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컴플라이언스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음이 나온다. 비평가들은 이 정책이 국제 파트너십 약화 및 글로벌 AI 협력 저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오라클의 켄 글루크 부사장은 이 프레임워크가 2천80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지원법(CHIPS Act)의 혜택을 무효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엔비디아 주가는 1월 8일 140.11달러로 마감해 전일 종가인 140.14달러에서 소폭 하락했다. 시간 외 거래에서는 0.96% 하락한 138.77달러를 기록했다.